[데일리투데이 황소정 기자] 동아시아 건축가와 디자이너가 한자리에 모여 지속가능한 미래건축으로서 ‘전통건축’의 가치와 잠재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된다.
서울시는 10월 6일 돈화문국악당에서 ‘동아시아 전통건축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2023 한옥정책 심포지엄’이 열린다고 밝혔다. 행사는 서울시 공식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생중계돼 온라인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목조건축’이라는 유사성을 가진 동아시아 대도시 내 전통건축이 맞은 위기와 변화를 공유․공감하고, 미래지향적 건축으로서 잠재력과 전통건축의 발전적 디자인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갈 것으로 기대된다.
심포지엄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이자 온지음공방 집공방장인 김봉렬 교수의 ▴기조강연 ‘전통은 과거 완료형인가, 현재 진행형인가’를 시작으로 ▴주제 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주제발표에서는 한․중․일 건축가가 전통건축의 변화, 잠재력에 대한 고민과 화두를 던진다.
조정구 구가도시건축 대표는 ‘진화하는 삶의 형상’을, 중국 쥬 페이 스튜디오 주-페이 대표는 ‘뿌리와 혁신-전통의 힘을 재발견하다’를 주제로 30분간 발표에 나서고 일본 조 나가사카 스키마타 아키텍츠 대표는 ‘반(半)건축’에 대해 이야기한다.
토론은 서울대학교 전봉희 교수가 좌장으로 나서 ‘대도시 속 전통건축이 던지는 화두와 미래건축으로서의 디자인’을 주제로 70분 간 토론을 진행한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최근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건축, 힙하고 트렌디한 매력적인 건축·문화 공간으로 평가받고 있는 ‘한옥’이 지속가능한 미래건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서울시도 지속 고민하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t2018@daum.net
<저작권자 © 데일리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3-10-04 10:0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