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투데이 이정석 기자] 서울시가 K-바이오산업의 거점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의 2단계 사업을 2026년부터 본격 추진한다.
‘벤처스튜디오’ 도입, 창업 인재 1,900명 양성 등 전주기 창업 지원체계를 구축해, 서울 유일의 강소특구인 홍릉을 글로벌 바이오・의료 메디클러스터로 도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는 서울 성북구 안암동・정릉동과 동대문구 회기동 일대 약 1.38㎢ 규모로 지난 2020년 8월에 지정・고시됐다.
KIST,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의 기술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배후 공간에 위치한 서울바이오허브, BT-IT융합센터 등이 바이오・의료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앞서 시는 총사업비 210억 원을 투입해 1단계 사업을 추진했다.
기술이전, 창업 지원, 투자유치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으며, 과기부에서 주관한 2022년도와 2024년도 연차 평가에서 모두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올해 4월 진행한 최종 종합평가 결과에서도 2단계 특화발전 지원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했다.
최근 5년간 운영된 GRaND-K 창업학교는 예비・초기 창업자들이 기술성, 시장성, 혁신성을 키우도록 맞춤형 교육과 VC 연계 데모데이를 제공하며, 총 251개 스타트업을 발굴해 426억 원의 투자유치를 지원해왔다.
주요 입주기업들의 대형 기술이전 부문에서의 우수한 성과도 1단계 사업의 성공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시는 2021년부터 추진해 1단계 사업이 성공적으로 종료됨에 따라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총 200억 원 내외로 투입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2단계 사업에서는 최근 첨단기술과 바이오헬스의 융합화 경향을 반영해 홍릉을 첨단 바이오헬스 중심지로 기술사업화 촉진과 혁신생태계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서울AI허브(양재), 서울 마곡 R&D센터 등 시 거점시설뿐만 아니라, 바이오・의료 분야와 연관된 전국의 다른 특구 및 바이오・의료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 체계를 확대해 광역 혁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
또한, 벤처스튜디오(Venture Studio) 벤처스튜디오(Venture Studio) : 아이디어 발굴부터 팀 구성, 자금 조달, 제품 개발, 시장 진입까지 창업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기획형 창업 지원 모델
모델 등을 도입해 창업 아이디어 발굴부터 시장 진입까지 전(全)주기 창업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전문인력 및 창업 인재 1,900명을 양성한다.
이와 함께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R&BD 과제와 규제혁신협의체를 운영한다. 기술사업화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신속히 해소해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아울러, 국내외 대·중견기업과 창업기업 간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해 공동연구,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특구 내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단순한 연장이 아닌, 전주기 창업지원과 글로벌 진출 기반을 강화하는 2단계 사업을 통해 홍릉 일대가 바이오・의료 분야 글로벌 메디클러스터(메디컬+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good1985@empas.com
<저작권자 © 데일리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5-08-11 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