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투데이 이정석 기자] 서울시는 사적 157호 환구단의 첫 관문인 환구단 정문 일대의 펜스와 담장을 철거하고, 전통적 의미가 있는 나무를 식재해 시민들이 역사를 되새길 수 있는 담장 없는 정원으로 조성했다고 밝혔다.
환구단은 조선 말기 고종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1897년 건립한 제단으로, 왕실과 국가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환구단 정문은 1968년 도시개발과 도로 확장 계획에 따라 매각되어 한동안 그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다가 2007년 우이동 그린파크호텔 재개발 과정에서 정문이 발견되었다. 2008년 현장조사 등을 통해 2009년 현재 위치인 중구 소공동으로 옮겨 복원했다.
그 동안은 펜스 및 담장 등이 설치되어 시인성과 접근성이 떨어져 시민들이 스쳐 지나가는 공간이었으나, 서울시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펜스와 담장을 철거하고 정원으로 조성하는 ‘환구단 정문 열린 정원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시민들에게 환구단 정문을 개방했다.
특히 정원 조성 시 환구단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여 오얏나무, 배롱나무 등 교목 4종 12주, 모란 등 관목 8종 180주를 식재하고 하부는 잔디로 마감하여 개방감을 더했다.
환구단 정문의 화단에는 ‘고종실록’ 36권, 고종 34년 10월 11일 양력 3번째 기사에서 발췌한 “無待聲明於天下, 而天下皆知大韓之號矣” 글자를 새겼으며, 글자 옆에 QR코드를 부착하여 누구나 핸드폰을 통해서 글자의 의미를 볼 수 있다.
또한 무장애 램프구간을 조성하여 휠체어 등 보행 약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24시간 시민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야간 조명을 설치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환구단 정문이 가진 역사성과 정원의 아름다움을 시민 모두가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열린공간으로 되살렸다,”고 말하며 “역사적 가치와 자연과 휴식이 어우러진 새로운 시민 휴식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good1985@empas.com
<저작권자 © 데일리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5-07-03 07:4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