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투데이 강인범 기자] 서울시가 인천공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경유 공항버스를 2026년까지 전체 버스의 70% 수준인 300여대, 2030년까지 100%에 해당하는 450여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수소 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추진을 위해 6월 7일(수) 14시 서울시청에서 환경부, SK E&S, 현대자동차, 티맵모빌리티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소모빌리티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서울지역 온실가스의 19.2%가 수송부문에서 배출되는 가운데, CNG‧전기 등 친환경버스로 운행 중인 시내버스와 달리, 450여대의 공항버스는 경유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시는 환경부, SK E&S, 현대자동차, 티맵모빌리티와 함께 공항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의 친환경성, 안전성 등 시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홍보·교육 등을 협약기관들과 공동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서울시는 지난 2020년부터 수소 저상버스 27대를 시내버스로 보급하였으며, 올해 출시되는 고상 수소버스 공항버스로 보급할 예정이다. 향후 충전소 구축 상황 등을 고려해 ’26년까지 1,300여 대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한, 시는 수소버스의 안정적 보급을 위해 2026년까지 5개의 공영차고지에 버스 전용 충전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강서 공영차고지에 수소버스 전용 충전소를 설치해 시내버스 20여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중으로 진관2 공영차고지에 액화수소 버스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대도시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가장 큰 영향이 있다"라며 "시내버스 전체를 CNG 연료로 바꾸어 대기질을 크게 개선한 경험으로 공항버스의 수소버스화를 추진해 온실가스 감축에 앞서가겠다"고 말했다.
noah9191@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3-06-07 19: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