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투데이 황태환 기자] 경기도가 경기도가 농번기를 맞아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촌 현장을 돕기 위해 농촌인력중개센터 구직자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 자원봉사 인력까지 총 27만 여명을 공공부문에서 공급해 농촌 인력난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 농업 분야 전체 인력 수요를 약 1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이 중 27만 명을 공공 부문에서 공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인력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 인력중개 약 4만2천 명, 농협 및 단체 일손돕기를 통한 약 18만 명, 법무부 사회봉사명령 약 3만6천 명 등이다.
농가형 계절근로자 약 4천 명,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약 8천 명도 포함된다.
경기도는 우선 시군과 협력해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 상황실을 6월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화성·평택·파주·김포·포천·양평·안성·여주·연천 등 농촌인력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를 운영하는 9개 시군 중심으로 현장의 농작업 진행 상황, 인력 수급 및 임금 동향 등을 주간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현재 9개 시군에서 11개 농촌인력중개센터와 공공형계절근로센터를 운영 중으로 이들 센터는 중·소규모 농가에 수수료 없이 국내·외 인력을 연결하고 있어 농가의 인건비 절감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센터 실적도 도에서 수시로 관리 중이다.
또한 도내 29개 대학과 2021년 업무협약을 맺어 대학생 농촌일손돕기를 적극 유도하고 있으며, 자원봉사센터 및 농업인 단체, 법무부와 연계해 다양한 인적 자원이 농업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경우 4월 28일 기준 19개 시군에 3,032명이 입국·고용돼 농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상반기 배정인원 4,336명 대비 70% 정도 규모이며, 5월중 90% 이상이 입국해 일손이 부족한 농업 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종민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농작업 유형과 시기에 따라 정밀하게 인력 지원 체계를 운용하고, 공공과 민간이 힘을 합쳐 현장 중심의 실질적 인력지원 체계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whitescarf@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등록 2025-05-06 15:35:32